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李 대통령 "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 'END'로 한반도 적대 종식"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첫 유엔 기조연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제안
"교류·협력이야말로 평화의 지름길, 불변의 교훈"
"새로운 대한민국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 선언"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9.24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9.24 [사진=연합뉴스]

[아이뉴스24 문장원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첫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 이른바 'E.N.D 이니셔티브'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로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 간 교류·협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한반도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의 길을 열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선 비핵화'를 완강히 거부하는 상황에서 '선 교류 - 후 비핵화'라는 점진적 접근 방식을 제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23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진행된 취임 후 첫 유엔 기조연설에서 "교류, 관계 정상화, 비핵화, 즉 'END'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대화로 한반도에서의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END)하고,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류와 협력이야말로 평화의 지름길이라는 사실은 굴곡진 남북 관계의 역사가 증명해 왔던 불변의 교훈"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민주 대한민국은 평화공존, 공동 성장의 한반도를 향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한다"며 "그 첫걸음은 남북 간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상호 존중의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을 향해선 "대한민국 정부는 상대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체의 적대 행위를 할 뜻이 없음을 다시 한번 분명하게 밝힌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우선 남북 간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과 적대 행위의 악순환을 끊어내고자 한다"며 "취임 직후 대북 전단 살포와 대북 방송 중단 등의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한 것도 같은 이유다. 앞으로 우리 정부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의 길을 일관되게 모색할 것"이라고 먼저 북한에 손을 내밀 뜻을 밝혔다.

앞서 이 대통령이 비핵화 3단계로 제시한 '동결-감축-비핵화'도 재차 언급했다. 그는 "비핵화는 엄중한 과제임이 틀림없지만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는 냉철한 인식의 기초 위에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됐다"며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 중단부터 시작해, 축소의 과정을 거쳐 폐기에 도달하는 실용적, 단계적 해법에 국제사회가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사회의 협력 역시 거듭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는 남북은 물론 국제사회가 함께 만들어 가는 게 중요하다"며 "남북 관계 발전을 추구하면서, 북미 사이를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관계 정상화 노력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 실현은 분쟁으로 고통받는 인류에게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을 제공할 것"이라며 "'E.N.D 이니셔티브'로 한반도의 냉전을 끝내고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 위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한국이 12·내란을 극복하고 정상적 민주국가로 국제 사회에 복귀했다는 사실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오늘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의 미래를 논의할 이 유엔총회에서 세계 시민의 등불이 될 새로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했음을 당당하게 선언한다"고 말했다.

그는 "친위 쿠데타로도 민주주의와 평화를 염원하는 대한국민들의 강렬한 의지를 결코 꺾을 수 없었다"며 "지난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뤄낸 '빛의 혁명'은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인의 것이 될 것"이라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말처럼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들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했다.

/문장원 기자(moon3346@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李 대통령 "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 'END'로 한반도 적대 종식"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