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신동아건설이 회생절차 개시 후 8개월 만에 법정관리를 졸업했다. 지난 수년간 이어진 건설경기 침체 속 나온 성과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건설경기 회복을 보여주는 차원으로 보기는 어려운 사례라는 의견이 많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 신동아건설 본사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8022ec5504b8a3.jpg)
13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1일 신동아건설이 제출한 '회생계획 종결 신청서'를 검토 후 최종 승인해 '기업회생절차' 종결을 통보했다. 지난 1월 회생절차가 개시된 후 약 8개월 만이다.
법원은 "8월 29일 회생계획 인가 이후 회생채권의 1차분 변제 의무를 조기 이행해 회생계획에 따른 변제를 시작했다"면서 "매출실적 및 수익성, 회생담보권 관련 매각대상 담보물의 가치 등을 고려해 볼 때 회생계획 수행에 지장이 있다고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신동아건설의 원자재 가격 상승과 지방 분양시장 침체, 미수금 누적 등을 이유로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후 지난 8월 29일 회생계획안을 인가받고 이달 회생절차를 종결하는 등 빠른 속도로 기업회생절차를 마무리했다.
업계에서는 신동아건설이 지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약 9년간 진행했던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작업) 경험이 이번 회생절차 조기졸업 비결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앞서 한 차례 경영위기를 겪었던 만큼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동아건설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에도 워크아웃을 진행한 후 임금 동결 등 구조조정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바 있다"면서 "워크아웃 졸업 후 6년여 만에 다시 회생절차에 진입한 만큼 신속하게 자금 조달에 나설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다만 업계 내부에서는 신동아건설의 사례를 건설업 전반의 경기회복 시그널로 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여전히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여전하고 지방 미분양이 쌓여 있어서다. 앞서 신동아건설이 회생절차를 신청한 원인 다수가 해소되지 않은 셈이다.
건설경기 한파는 건설물량 감소로 이어졌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8월 전국 건축 착공면적은 5043만㎡로 지난해 동기 대비 17.0%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격탄을 맞았던 2009년(4160만㎡) 이후 두 번째로 적은 물량이다.
정부는 부진한 건설경기를 타파하기 위해 PF 구조조정에 나섰고 지방 미분양 가구를 매입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000가구를 매입할 예정이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지방 미분양을 매입 후 되파는 미분양안심환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구조조정(CR)리츠도 지난해부터 시행 중이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정부 대책에도 건설경기 회복을 예상하기 어렵다고 입 모았다. 박철한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건설업은 공사 물량 자체가 없고 공사를 진행하는 데 있어 비용 등 리스크가 크다"이라면서 "건설사가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주택관련 대출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추가 부동산 대책이 논의되고 있고, 안전을 위한 시공 관련 규제 역시 크게 강화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이런 영향으로 폐업과 부도는 늘어나고 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월 1일부터 지난 13일까지 폐업한 종합건설사 수는 49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448건을 넘어섰다. 건설사 부도는 지난 8월을 제외하면 지난달까지 매달 발생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건설사의 이자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지만 그마저도 효과가 불확실하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준금리가 내려가더라도 건설사가 빌린 비용에 대한 금리가 떨어지느냐는 다른 문제"라며 "기준금리 인하가 은행권 대출 금리로 이어지느냐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 또한 불투명하다. 부진한 건설경기와 달리 서울 한강변과 그 인근 수도권 주택 시장은 훈풍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주택 가격 상승세가 더 커질 위험이 있다. 이에 오는 23일 예정된 10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결과에 건설업계 관심이 쏠린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