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이동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들이 국정감사 무대에 줄줄이 소환된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와 정무위원회(정무위)에 이어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도 CEO 증인 출석을 요구했다. 오는 13일부터 시작되는 2025년도 국정감사의 칼끝이 대규모 해킹사고 등이 발생한 통신사의 최고경영진을 향하면서 업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 [사진=각사]](https://image.inews24.com/v1/d500a0fb13face.jpg)
과방위는 지난 9월24일 이통 3사 CEO 전원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오는 14일과 21일 이틀에 걸쳐 과장광고 논란과 대규모 해킹 사고 관련으로 증인 출석 요청을 받았다. 21일에는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와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 역시 대규모 해킹 사고와 본인인증서비스(PASS)를 포함한 사이버 보안 문제를 주제로 증인석에 선다.
특히 KT는 사장 교체 과정을 둘러싼 의혹까지 얽히며 과방위 국감의 최대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구현모 전 KT 대표를 비롯한 윤경림 전 KT 사장 최종 후보,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 서원주 기금운용본부장 등이 대거 관련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여기에 황태선 KT CPO, 허태원 KT 컴플라이언스추진실장,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 등 현직 임원진도 줄줄이 증인석에 오른다.
정무위는 금융·지배구조 문제까지 겨냥했다. 9월29일 의결된 명단에 따르면 김영섭 대표는 오는 14일 정무위 국감에도 증인 출석 요청을 받았다.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한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SK텔레콤 대표는 소환되지 않았지만, 그룹 총수인 최태원 회장이 오는 28일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을 사유로 출석 요청을 받았다. 통신 보안 이슈를 넘어 그룹 지배구조와 투명성 논란까지 다뤄질 전망이다.
행안위도 통신 CEO 호출 대열에 합류했다. 1일 의결된 명단에 따르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오는 17일 AI 업무협약 관련 쟁점으로 출석 요청을 받는다. 김영섭 대표는 30일 국가융합망 사업과 관련해 증인석에 선다.
과방위와 정무위가 보안·지배구조를 겨냥했다면, 행안위는 국가 기반망과 인공지능 협력 등 공공 인프라 차원 현안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사 서비스가 국민 생활뿐 아니라 행정·안전 시스템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국회의 질의는 더욱 날카로워질 전망이다.
통신사 CEO들은 과방위·정무위·행안위 등 3개 상임위 증인 명단에 모두 이름을 올리며 동시다발 국감 출석에 직면했다.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보안 관리 부실, 사장 교체 과정 논란, 그룹 지배구조, 국가 기반망과 AI 협력 등 현안이 겹겹이 쌓이면서 CEO들이 받을 국감 공세는 어느 해보다 거셀 것으로 보인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