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3월 뜨거웠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빙하기에 접어들었다. 전방위 규제에 시장 참여자들의 의지가 급랭한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과 기준금리 동결까지 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df19c677dffce0.jpg)
19일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18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053건으로 전월(8835건) 대비 약 7782건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647건)과 비교해도 거래량이 적었다.
지난 2월 서울시가 대부분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며 과열된 아파트 시장은 정부와 서울시가 지난달 24일부터 강남·서초·송파·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으면서 빠르게 식고 있다. 계약 신고기간이 남은 만큼 향후 거래량이 더 늘어날 수 있지만 지난달과 비교하면 적을 것으로 보는 의견이 우세하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 지정된 지역은 규제 여파로 거래가 급감했다. 서초구의 경우 지난달 237건이 거래됐지만 이달 한 건의 거래도 나오지 않았다. 강남구도 3월 728건에서 7건으로 줄었고 송파구도 같은 기간 658건에서 8건으로 감소했다. 용산구도 이달 1건만 거래돼 지난달(229건)과 차이가 컸다.
그 외 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주택 수가 많은 노원구는 3월 557건에서 이달 81건 거래에 그쳤고 지난해부터 주택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던 성동구도 601건에서 56건으로 줄었다. 서울 주택시장을 이끌었던 강남권과 용산구가 유제 여파로 거래가 감소하면서 인근 지역도 함께 영향을 받는 모양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 관망세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6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어 부동산 정책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 점도 거래량 감소 요인으로 꼽힌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정부의 규제 수위를 높이면 서울 전역 아파트 매수 심리를 위축시켰다"면서 "정치적인 이슈가 있는 만큼 매수 시점을 미루는 수요자가 늘어난 점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토허제가 구(區)단위로 지정되면서 가격 비교 대상으로 삼을만한 대상이 사라졌고 지역별로 키맞추기가 어려워지면서 매수세가 전월 대비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주택 가격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래량이 줄어드는 등 시장이 위축되면 집을 팔아야 하는 집주인이 급매로 내놓으며 가격이 하락한다. 다만 서울의 경우 거래량 감소에도 주택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2주(1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가격은 전주 대비 0.08% 상승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한 후 0.25%던 상승폭이 낮아졌지만 여전히 아파트값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자치구별로도 0.02% 하락한 중랑구와 보합세인 노원구를 제외하면 모든 지역 집값이 올랐다.
6월 대통령 선거와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장 변수로 남았지만 전문가들은 급격한 가격 하락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집주인들이 급매를 내놓는 대신 매물을 거두는 등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9db41682a55e61.jpg)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8일 기준 8만6997건으로 한달 전(9만981건)과 비교해 4.4% 줄었다. 올해 초(8만18752건)와 비교해도 2% 감소한 수치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향후 서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드는 상황"이라면서도 "집을 사고팔아야 하는 수요자는 거래량이 살아난 2월과 3월 주택을 거래한 만큼 가격이 내려가기보다 시장 흐름을 지켜보는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