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허재영 기자]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까지 내려가면서 직격타를 맞게 된 보험사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고객이 낸 보험료를 굴려 자산을 운용해 수익을 내야 하는데 추가적으로 금리가 인하되면서 보험사의 자산운용수익률은 더욱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향후 실적 개선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보고 있다.
2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5월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0.50%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은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하며 사상 처음 0%대 기준금리 시대를 연 지 2개월여 만에 다시 금리를 내렸다.

이는 한은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타격이 예상보다 더욱 심각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세계 경제가 대공황급의 침체를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는 상황 속에서 대외 경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더욱 타격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로 직격타를 맞게 된 보험사들은 생존의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보험사는 고객이 낸 보험료를 굴려 자산을 운용해 보험금을 돌려주고 회사를 운영한다. 이로 인해 주식 등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주로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데 금리가 인하하게 되면 채권 수익률도 떨어져 자산운용수익률이 하락한다.
실제로 생명보험사의 자산운용수익률은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점차 하락해 현재 3.5%수준까지 내려앉았다. 지난 2010년 5%까지 올랐던 생명보험사의 운용자산이익률은 2015년까지 4%대를 유지해왔다. 이번 금리 인하로 인해 자산운용수익률은 3% 초반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생명보험사들은 이차역마진 문제까지 겹치면서 더욱 위기감이 고조된 상태다. 생보사들은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6~8% 금리를 보장하는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경쟁적으로 판매해왔다. 저금리 시대에 들어서면서 자산운용을 통해 벌어들이는 돈보다 보험금으로 나가는 돈이 더욱 많은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보험업계의 숙원 사업 중 하나였던 해외투자 한도를 기존 30%에서 50%로 확대하는 방안을 담은 보험업법 개정안이 20대 국회에서 통과됐다는 점이다. 보험사들은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자 해외투자 비중을 늘리기 시작했지만 그간 30%에 한도에 묶여 자산운용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해당 개정안은 법 공포 후 6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시행되기 때문에 당장 도움이 될 수는 없을 전망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저금리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자산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추가적으로 금리가 내려가면서 향후 실적 개선이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기로에 섰다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