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윤 기자] 수협중앙회가 노동진 회장 취임(2023년) 이후 3년 만에 경제사업·상호금융·자산건전성 등 전 부문에서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수협의 경영 성적표는 ‘적자·부실·연체’로 얼룩졌고, “수협의 뿌리가 흔들린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국회의원(경기도 화성시 갑·농해수위)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역수협 경제사업은 10년 넘게 한 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다.
적자 규모는 △2023년 1,412억원 △2024년 1,287억원 △2025년 8월 기준 846억원에 달한다.
한때 흑자로 적자를 메워왔던 상호금융 사업도 2년 연속 적자다.
2021년 2,226억원이던 이익이 2023년 841억원으로 급감했고, 2024년엔 1,417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올해도 8월 기준 471억원의 손실을 냈다.
더 큰 문제는 자산건전성 악화다. 전국 10대 권역 중 연체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11.45%), 이어 부산(10.33%), 전북(9.99%), 제주(9.16%) 순이었다.
전국 평균 8.11%를 웃도는 곳이 절반에 달한다.
금융당국 권고치(3%)를 넘는 조합도 전체의 67.4%(89개 중 60개)로, 일부 조합은 연체율이 20%대까지 치솟았다.
부실채권도 급증했다. 지역수협의 고정이하여신은 2020년 7,357억원에서 올해 2조 8,836억원으로 약 4배 폭증했다.
채권 매각은 부진했고, 수협중앙회 경제사업 매출도 3년째 내리막길이다(2023년 1조 3,146억원 → 2025년 상반기 5,501억원).
수협 측은 “기후 변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와 소비 위축 탓”이라고 해명했지만, 송옥주 의원은 “대외 여건 탓만 하기엔 구조적 대응 부재가 문제”라며 경영진 책임론을 제기했다.
송 의원은 “경제사업은 어업인 생계와 직결된 핵심”이라며 “유통구조 혁신과 여신관리 역량 강화, 부실채권 매각 다변화, 대손충당금 확대 등 근본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