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진광찬 기자]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궁극적으로 청산을 염두에 두고 시간 벌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국정감사장에서 제기됐다. 정치권은 홈플러스 대주주인 김병주 회장에게 사태 해결을 위한 추가 사재 출연을 압박하고 나섰다. 김 회장은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선을 그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f05f48307ecf73.jpg)
14일 국회 정무위원회는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에 대한 경영 책임을 집중 추궁했다. 특히 매각 방식을 우선 협상대상자부터 찾는 '스토킹 호스' 방식을 포기하고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낸 점을 두고 질타가 쏟아졌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9월 19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만나서 '유력한 협상대상자와 협상 중'이라고 했는데 20일도 지나지 않아서 공개입찰로 전환했다"며 "11월 10일이 인가 전 M&A 마지막 시한인데, 20여일 남은 시점에 공개 모집으로 새로운 인수자를 구할 수 있냐"고 따져물었다.
그러면서 "우선 협상 대상자도 없었는데 시간만 질질 끌다가 마지막 20일 앞두고 공개모집 한다고 한 후 결국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바로 청산으로 가려고 계획한 게 아니냐"며 협상 대상 기업 이름을 캐 물었다.
이에 대해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MBK파트너스 부회장)은 "우선 협상 대상자가 있다는 말씀을 드린 적이 없고 제한적인 인수 희망자와 협상 중인 것"이라며 "영업상 기밀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변을 회피했다.
이 때문에 이날 국감에서는 MBK가 홈플러스 청산해 '먹튀'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잇따랐다. 유동수 민주당 의원은 "지금 상태에서는 (홈플러스의) 파산 상황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꼬집었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정무위원장)도 "M&A가 되지 않으면 청산하는 길로 가는 듯하다”고 가세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b8c3e0735a1835.jpg)
김병주 회장에게는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책임론과 사재출연 요구가 이어졌다. 하지만 김 회장은 사회적 책임은 인정하면서도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자신이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MBK)는 대기업이 아니고 사모펀드 운용사이며 (나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홈플러스에 대한 MBK 측의 지원을 더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노력은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법인과 개인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MBK가 운영수익 중 일부를 활용해 최대 2000억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하겠다고 밝힌 사회적 책임 이행방안을 놓고도 지적이 나왔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 인수 희망자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 2000억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을 제외하고 어떤 노력을 했느냐"며 "집을 팔 때도 살 사람이 원하는 가격에 맞춰야 거래가 이뤄지듯 인수자가 인수할 수 있는 조건을 맞춰주는 게 노력"이라고 비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